김성근 감독의 작전은 늘 신출귀몰해서, 아리까리하던 경기를 일거에 뒤집어놓는 신통력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약발이 안 통했다. 그냥 속절 없이 결정적인 경기를 내주고 만 것이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는 일이 있는 것이니.
묘한 상황은 2:0으로 SK가 지고있던 6회말에 발생했다. 이종범의 병살타성 타구를 나주환이 2루를 찍고 1루로 던지려다 1루 주자인 김상현의 발에 걸려 넘어지면서 1루에서 공이 샜고, 그새 3루 주자가 홈인을 해버린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더블플레이로 처리되어 추가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며 후반전 반격을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라 더욱 미묘한 시점이었던 것이다. 말그대로 경기의 승부처에서 일어난 돌발상황인데, 이것이 경기를 묘하게 몰고갔다. 이후 경기는 더이상 득점이나 별다른 파고없이 그대로 끝나고 말았으니 승부처였긴 승부처였다.
주자 김상현이 오른쪽 다리를 쭉 빼서 수비수의 다리를 걸었으니 다분히 의도적이긴 하다. 하지만 병살 타이밍에서 주자가 자신의 주루범위 안에서는 최대한 수비를 방해하는 것 또한 관행적으로 용인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것이 허용될 만큼의 수준이었냐 아니냐인데, 이 경기 해설을 맡은 허구연 해설자도 말한 대로, 주자가 자신의 주루 범위를 벗어나서 플레이를 했다고까지 말하기 힘든 형태였다고 보인다. 만약 주자가 2루 베이스와 동떨어진 채 엉뚱한 곳으로 몸을 날려서 수비수의 수비동작을 방해했다면 명백히 반칙이라고 하겠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단지 다리를 좀 뻗었을 뿐 주자의 몸은 온전히 베이스에 가 있었다.
경기를 보면서 김성근 감독이 좀 과하게 액션을 한다는 느낌이 있었다. 물론 김성근의 교활한(?) 책략이라고 충분히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2:0으로 지고 있는 상황이었고, 경기는 6회고, 기아 선발 로페즈의 구위와 기아 투수력을 고려할 때 한점 더 실점하면 결정적이고.. 하여튼 여러가지 정황상, 경기를 좀 흔들어놓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김성근의 생각으로는, 일단 기아의 상승 흐름을 끊고, SK선수들의 전투력도 좀 다잡고 하는 여러가지 포석이 깔린 의도적 시비였다고 생각되었다.
그런데 김성근 감독이 알고 한 것인지 모르고 한 것인지, 일이 요상하게 꼬여갔다. 선수들을 그라운드에서 철수시킨 것을 이유로 심판진에서 김성근 감독을 퇴장시켜버린 것이다. 흔히 조직야구, 감독야구라고 불리는 SK팀에서 이 중요한 경기에 김성근이 빠지니 일이 좀 요상하게 흘러간 것이다. 김성근 감독이 몰수패를 바랄 리는 없으니, 선수들을 다시 그라운드로 들여보내고 자신은 덕아웃을 물러남으로써 경기는 속개되었지만 어쨌든 '김성근 매직'으로도 경기를 다시 뒤집을 수는 없었다. 결국 이 중요한 경기에서 선발 완봉패라는 뼈아픈 결과를 받아들고 짐을 쌀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김성근 매직이 제대로 약발이 먹지 않은 것이고, 의도였는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암튼 감독이 퇴장 당하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그냥 속절없이 한국시리즈 9부능선을 기아에게 내주고 만 것이다. 남은 두 경기를 모두 쓸어담아야 하는 SK의 입장에서는 신출귀몰한 '김성근 매직'으로도 좀 버거워 보이는 현 상황인 것이다.
내가 보건대, 경기의 흐름상 적절하게 서야 할 때 서지 않고 너무 오버런을 해버린 듯한 느낌이 드는 상황이었다. 물론 로페즈의 역투와 SK타자들의 빈타가 승패의 근본적 원인이긴 하겠지만, 회심의 승부수가 엉뚱하게 꼬여버리면서 7,8,9회 경기 후반의 주도권을 제대로 가져가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그렇다.
김성근 감독, 이번엔 좀 많이 나가셨어.
묘한 상황은 2:0으로 SK가 지고있던 6회말에 발생했다. 이종범의 병살타성 타구를 나주환이 2루를 찍고 1루로 던지려다 1루 주자인 김상현의 발에 걸려 넘어지면서 1루에서 공이 샜고, 그새 3루 주자가 홈인을 해버린 것이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더블플레이로 처리되어 추가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며 후반전 반격을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라 더욱 미묘한 시점이었던 것이다. 말그대로 경기의 승부처에서 일어난 돌발상황인데, 이것이 경기를 묘하게 몰고갔다. 이후 경기는 더이상 득점이나 별다른 파고없이 그대로 끝나고 말았으니 승부처였긴 승부처였다.
주자 김상현이 오른쪽 다리를 쭉 빼서 수비수의 다리를 걸었으니 다분히 의도적이긴 하다. 하지만 병살 타이밍에서 주자가 자신의 주루범위 안에서는 최대한 수비를 방해하는 것 또한 관행적으로 용인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것이 허용될 만큼의 수준이었냐 아니냐인데, 이 경기 해설을 맡은 허구연 해설자도 말한 대로, 주자가 자신의 주루 범위를 벗어나서 플레이를 했다고까지 말하기 힘든 형태였다고 보인다. 만약 주자가 2루 베이스와 동떨어진 채 엉뚱한 곳으로 몸을 날려서 수비수의 수비동작을 방해했다면 명백히 반칙이라고 하겠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단지 다리를 좀 뻗었을 뿐 주자의 몸은 온전히 베이스에 가 있었다.
경기를 보면서 김성근 감독이 좀 과하게 액션을 한다는 느낌이 있었다. 물론 김성근의 교활한(?) 책략이라고 충분히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2:0으로 지고 있는 상황이었고, 경기는 6회고, 기아 선발 로페즈의 구위와 기아 투수력을 고려할 때 한점 더 실점하면 결정적이고.. 하여튼 여러가지 정황상, 경기를 좀 흔들어놓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김성근의 생각으로는, 일단 기아의 상승 흐름을 끊고, SK선수들의 전투력도 좀 다잡고 하는 여러가지 포석이 깔린 의도적 시비였다고 생각되었다.
그런데 김성근 감독이 알고 한 것인지 모르고 한 것인지, 일이 요상하게 꼬여갔다. 선수들을 그라운드에서 철수시킨 것을 이유로 심판진에서 김성근 감독을 퇴장시켜버린 것이다. 흔히 조직야구, 감독야구라고 불리는 SK팀에서 이 중요한 경기에 김성근이 빠지니 일이 좀 요상하게 흘러간 것이다. 김성근 감독이 몰수패를 바랄 리는 없으니, 선수들을 다시 그라운드로 들여보내고 자신은 덕아웃을 물러남으로써 경기는 속개되었지만 어쨌든 '김성근 매직'으로도 경기를 다시 뒤집을 수는 없었다. 결국 이 중요한 경기에서 선발 완봉패라는 뼈아픈 결과를 받아들고 짐을 쌀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김성근 매직이 제대로 약발이 먹지 않은 것이고, 의도였는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암튼 감독이 퇴장 당하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그냥 속절없이 한국시리즈 9부능선을 기아에게 내주고 만 것이다. 남은 두 경기를 모두 쓸어담아야 하는 SK의 입장에서는 신출귀몰한 '김성근 매직'으로도 좀 버거워 보이는 현 상황인 것이다.
내가 보건대, 경기의 흐름상 적절하게 서야 할 때 서지 않고 너무 오버런을 해버린 듯한 느낌이 드는 상황이었다. 물론 로페즈의 역투와 SK타자들의 빈타가 승패의 근본적 원인이긴 하겠지만, 회심의 승부수가 엉뚱하게 꼬여버리면서 7,8,9회 경기 후반의 주도권을 제대로 가져가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그렇다.
김성근 감독, 이번엔 좀 많이 나가셨어.
'야구 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선수는 이래도 되는거? (0) | 2009.12.03 |
---|---|
그가 없었어도 우승은 할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이렇게 감동스러울 순 없었을 거다... (13) | 2009.10.24 |
반성하지 않는 자를 용서한 죄 (0) | 2009.09.02 |
김성근의 성깔이 만들어낸 황당한 게임 (0) | 2009.06.26 |
김성근이 옳다 (0) | 2009.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