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正善治,
事善能,
動善時。
夫唯不爭,故無尤。
<褐譯>
가장 잘 하는 것은
물처럼 하는 것이지.
물은,
온갖 것을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고
뭇 사람들이 하기 싫어하는 것을 묵묵히 행한다네.
그러니 도에 가까운 것이지.
산다면 사는 곳을 좋게 하라.
마음 쓰면 그 마음씀이 깊게 하라.
더불어 어울린다면 어질게 하라.
말을 하면 그 말이 미덥게 하라.
다스린다면 바르게 하라.
일을 한다면 잘 되게 하라.
움직인다면 때에 맞추라.
다투지 않으니 허물 없으리.
上善若水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居善地,心善淵,與善仁,言善信,正善治,事善能,動善時。
너무 밋밋할 정도로 쉽고 단순한 말들이다. 하지만 쉽고 단순한 것이 늘 진리에 가깝다. 그리고 행하기는 어렵다. '착하고 정직하게 살라'하면 참 밋밋하지만 행하기는 얼마나 어려운가. 살되 그 사는 곳을 좋게 하라. 마음을 쓸 때는 마음씀이 깊게 하라. 더불어 사귈 때는 어질게 하라.. 참으로 시시하고 밋밋한 '공자님 말씀'들이다. 뭐 이런 시시한 얘기를 대단한 것처럼 써놨나 하는 생각이 들지만, 사실 이것들이야말로 진짜 행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것에 비하면 서울대학 합격하고 토익 만점받고 하는 것은 매우 쉬운 것이다.
내가 머무는 곳을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은 매우 힘들다. 때로는 희생도 필요하다. 앞에서 나온 바 있듯이, 남이 꺼리는 것을 해야 할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묵묵히 하는 것, 그것이 물처럼 사는 것이다. 물은 묵묵히 흘러가면서 자신이 거치는 모든 곳을 깨끗하게 한다. 좋게 만든다. 사람 또한 그와 같이 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은 것이다.
요사이 많이 쓰는 말로, '아름다운 사람은 머문 자리도 아름답다'는 말이 있다. 나는 이 말이 노자 8장의 이 '居善地'라는 문장에 딱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깨끗하자고 주위를 더럽히는 것, 자신이 편하자고 주위를 불편하게 하는 것, 이런 것은 도답지 못한 삶이다. 진정으로 훌륭한 삶은 자신의 주위도 훌륭하게 만드는 삶이다. 세상에 아무리 훌륭한 업적을 남기고 멀리 천리사방에 이름을 떨쳐도 동네사람에게 인정을 못 받으면 결코 훌륭한 사람이라 하기 힘들다. 자신의 삶조차 관리 못하는 사람이 무슨 인류문명에 기여하겠는가. 모조리 가식일 뿐이다.
사람 사이에 마음을 쓸 때는 얄팍하게 하지 말고 깊게 할 것이며(心善淵), 더불어 어울릴 때는 그 마음씀이 어질게 하고(與善仁), 그 말하는 것이 미덥게(言善信) 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스림에 임할 때는 오로지 바른 것으로 할 것(正善治)이며, 일을 할 때는 잘 되도록 하고(事善能), 몸을 움직일 때는 어투루 하지 말고 반드시 때에 맞게(動善時) 움직이라는 것이다.
내가 필요할 때만 교유하고, 깊은 관계 보다는 얄팍한 이해관계를 먼저 따지며, 어떻게든 교묘한 말로 속이려고만 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처세이다. 그것은 당장의 이익을 줄 지는 모르지만 결코 사람을 얻을 수 없는 방법이다. 사회가 아무리 복잡해진다한들 사람 사이의 기본적인 관계는 다를게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가르침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말로 하던 것을 휴대폰 문자로 하게 되었다 해서 달라질 것은 기본적으로 없다는 것이다. 내가 진심으로 대하지 않는다면 머지 않아 상대도 그것을 알게 되고 딱 그 만큼만 대접받을 것이다. 그것이 이해관계를 먼저 따지는 인간관계의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움직일 때는 때에 맞게 하라(動善時)는 것은 고금불멸의 진리이다. 이와 같은 말은 노자 뿐 아니라 여러 곳에서 나오고 있는데, 그만큼 옛사람들도 때에 맞추는 것의 중요성을 깊이 깊이 인지하고 있었다는 방증일 것이다. 아무리 좋은 일도 때에 맞지 않으면 좋지 않은 일이 될 뿐이다. 똑같은 행동이더라도 때에 맞지 않으면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오고 전혀 다른 평가를 받게 된다. 그래서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
夫唯不爭,故無尤
다투면 반드시 앙금을 남기게 된다. 가급적이면 싸우지 않고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방법이다. 싸운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얻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상대방을 굴복시키는 과정일 뿐이다. 그것은 또한 나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싸워서 둘 중 하나가 이익을 얻게 된다면 그나마 다행이겠지만 싸워서 뭘 얻어봐야 결국 잃게 되는 결과를 낳을 뿐이라 싸움이란 것은 이기든 지든 어느 쪽이나 잃게 되는 것이다. 양쪽 모두 지는 결과를 받아들 뿐이다.
그러니, 양측이 도저히 양립할 수 없어서 한쪽은 반드시 사라져야 할 경우에만 싸움은 유용할 수 있다. 즉 내쪽도 피해를 감수하면서도 상대를 없애지 않을 수 없을 때 싸우는 것이다. 말 그대로 '니 죽고 내 살자', '둘 중에 하나는 죽어 없어져야 된다' 하는 경우에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세상을 살아보면 이런 극단적인 경우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대개의 경우, 타협하고 협상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내가 뭔가를 얻기 위해서는 싸울 것이 아니라 타협하고 협상하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이것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어떤 갈등상황이 생기면 무조건 싸워야 한다는 전투적인 자세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잘 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끊임없이 피곤할 뿐 아니라 계속해서 잃게 된다. 끊임없이 싸우면 점점 더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잃게 된다. 돈도 잃고 사람도 잃고 다 잃는다.
노자는 말한다. "다투지 말라. 다투면 허물을 남기게 될 뿐이다."
노자 8장 끝.
노자 도덕경 왕필주 (老子道德經王弼注)
上善若水。水善利萬物而不爭,處眾人之所惡,
人惡卑也。
故幾於道。
道無水有,故曰,幾也。
居善地,心善淵,與善仁,言善信,正善治,事善能,動善時。夫唯不爭,故無尤。
言人皆應於治道也。
'노자 도덕경 역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6장 (0) | 2009.02.16 |
---|---|
노자 도덕경 7장 (0) | 2009.02.16 |
노자 도덕경 10장 (0) | 2009.02.16 |
노자 도덕경 33장 (0) | 2009.02.16 |
노자 도덕경 70장 (0) | 2009.02.16 |